728x90
    
    
  반응형
    
    
    
  개발팀에서 일하다 보면 이런 말, 한 번쯤 들어봤을 것임(난 5년차임).
“커밋 좀 깔끔하게 남겨줘요…”
“이거 누가 언제 왜 고친 건지 로그 보고는 도저히 모르겠음;;”
솔직히 코드보다 커밋 메시지 때문에 빡치는 순간이 더 많다.
그래서 커밋 메시지를 잘 쓰는 사람 = 협업 잘하는 사람 으로 자동 인정된다. 생각보다 강력한 신뢰 포인트다.
또 물어보면 나도 기억안나거나 빡침 바빠죽겠는데

ㅋ 커밋 메시지가 깔끔하면 생기는 실무 이점
깔끔한 커밋개판 커밋
| feat: 로그인 API 토큰 검증 추가 | 수정, 테스트, ㅁㄴㅇㄹ | 
| PR 리뷰 속도 ↑ | “이거 뭐임?” 묻느라 시간 낭비 | 
| 나중에 버그 추적 쉬움 | blame 찍으면 화남 | 
| 신뢰도 상승 | "이 사람 코드 감각 없나?" | 
커밋 메시지는 코드를 설명하는 최소한의 문서라고 봐도 된다.
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는 컨벤션: Angular 스타일
<type>: <message> 예) feat: 유저 로그인 토큰 검증 로직 추가 
- 대표 type 종류
type의미예시
| feat | 기능 추가 | feat: 게시글 검색 API 추가 | 
| fix | 버그 수정 | fix: 비로그인 유저 검색 시 500 에러 해결 | 
| docs | 문서 수정 | docs: README에 실행 방법 추가 | 
| refactor | 기능 변화 없는 코드 정리 | refactor: 중복된 유저 필터 로직 분리 | 
| chore | 빌드/패키지/환경 설정 | chore: eslint 룰 적용 | 
| test | 테스트 코드 관련 | test: JWT 유효성 체크 테스트 추가 | 
👉 규칙: git commit -m "type: 명확한 설명"
너무 고급 컨벤션 말고 한 줄 규칙만 지켜도 팀 퀄리티가 확 달라지긴 함(습관화 하자).
- 나쁜 커밋 vs 🎯 좋은 커밋 비교
나쁜 예시좋은 예시
| 수정함 | fix: 검색 API null 입력 시 에러 처리 | 
| 테스트 | test: 댓글 생성 API 유효성 테스트 추가 | 
| readme | docs: 환경 변수 설정법 추가 | 
| ㅁㄴㅇㄹ | refactor: 유저 정보 필터링 로직 분리 | 
한 줄만 제대로 써도 커밋 히스토리 퀄리티가 확 변한다.
- 팀에서 컨벤션 정할 때 팁
- type 최소 5개만 합의 (feat, fix, docs, chore, refactor)
 - 영어 강제 NO. 한국어 메시지도 가능, 중요한 건 의도 명확하게
 - feat: ~~~ 추가, fix: ~~~ 수정 같은 패턴 통일
 
"자유롭게 쓰세요"라고 하면 100% 망함.
“이 다섯 개만 써서 메시지 남겨줘요” → 이러면 팀이 정돈됨.
- 실무에서 쓰기 좋은 커밋 템플릿 (복붙용)
# Summary(한 줄 요약) type: 변경 내용 요약 # Example feat: 소셜 로그인 콜백 시 토큰 검증 추가
욕먹지 말고 깔끔한 습관 들입시다 
+ 주석도 깔꼼하게!!!
728x90
    
    
  반응형
    
    
    
  'BACKEND > spring-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개발자가 꼭 알아두면 좋은 Git 숨겨진 기능 5가지 (0) | 2025.10.14 | 
|---|---|
| Spring과 Spring Boot의 차이점 (0) | 2022.09.14 | 
| HttpsURLConnection 을 이용하여 api 연동 하기 (0) | 2022.07.06 | 
| spring boot + batch + quartz 로 간단한 배치 만들기 (0) | 2022.04.01 |